총 16페이지
1페이지 본문시작

제979호
시각장애인용
2023년7월25일~8월4일
보이스아이QR코드
1990년 12월 15일 창간 안내 041-635-2035
집중호우 도민 피해 ‘전액’ 특별 지원
김태흠 지사, 안정 대책 발표
피해액절반‘즉시선지급’방침
정부지원과 별개로 지원책 마련
영농재개·주거안정·일상복귀총력
호우피해복구지원손길잇따라
충남도가 최근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게 중앙정부 지원 여부
와 별개로 피해액 전액을 특별 지원키
로 했다. 이 중 절반은 선제적으로 즉
시 지급한다.
김태흠 지사는 7월 24일 도청 프레
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집중호
우 피해 도민 생활 안정 특별 지원 대
책을 발표했다.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충남 공주·논산·부여·청양 등 4개 시군이 7월 19일 특별재난지역으로 우선 선포됐다. 특별재난지역은 대형 사고
"하루 빨리 일상으로" 수해복구 '구슬땀'
나 자연재해 등으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에 대한 복구 지원을 위해 대통령이 선포한다. 충남은 부여 외산 833㎜ 등 1000년 빈도의 이례적
김 지사는 “대통령께 두 차례 건의
천재지변(폭우)이 발생했다. 사진은 자원봉사자들이 논산지역 내 육묘장을 찾아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민들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수해복구활동을 펴고 있는 모습.
사진/논산시
해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되고, 정부에
서도 과거와 달리 특단의 지원을 강구
하고 있지만, 도에서는 신속한 영농 재
가축 피해는 상황을 살펴 지원 방안
공무원 및 의용소방대원 등 인력 2000
개와 주거 안정, 일상 복귀 등을 위해
을 검토한다.
명, 차량 32대, 수방장비 188점을 투입
선제적으로 특별한 지원에 나설 것”이
지난 집중호우로 도내에서는 공공시
했다.
라고 밝혔다.
설 피해 1113건, 사유시설 피해 1014
이들은 침수된 주택 배수와 생활용
피해액 전액 지원 원칙에 따라 피해
건, 농작물 침수 2954.1㏊, 농경지 유실
품 세척, 농경지 배수 장애요소 제거
액의 50%는 농협을 통해 즉시 지급하
54.2㏊ 등 총 1873억 원의 피해가 발생
등 수해복구활동에 나섰다.
고, 나머지는 정산 후 추가 지급하는
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도 소방본부는 장마가 종료될 것으
방식으로 신속 지원할 방침이다.
응급 복구는 공공시설 등 879건 중
로 예상되는 7월 말부터 도내 모든 소
주택의 경우 정부 지원에 추가 자금
786건(89.4%)을 완료했다.
방공무원과 1만여 의용소방대원이 참
수해복구를위한
을 더해 실제 피해액 전액을 지급하고,
일시 대피자 2088세대 3194명 중
여하는 대대적인 복구 활동에 나선다
TV, 냉장고, 세탁기 등 침수로 사용하
1896세대 2839명이 귀가를 하고, 미 귀
는 계획이다.
따뜻한손길이필요합니다
지 못하게 된 전자제품과 가재도구 일
가자에 대해서는 주거 지원 방안을 마
같은 날 도 농림축산국 직원 90여
체도 지원한다.
련 중이다.
명은 부여를 찾아 수박·오이 등 피해
전국적인집중호우로인명과재산피해가발생했습니다.
특별재난지역 지정에 따른 정부의
앞으로는 민간 장비와 군 병력 등
농작물을 제거하고, 시설하우스 및 퇴
삶의터전을잃은우리이웃들이빨리일상으로돌아갈수있도록
주거 피해 지원금은 전파 3600만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복구에 집중하
수로 정비 등 복구활동을 진행했다.
따뜻한위로와손길이필요한때입니다.
원, 반파 1800만 원, 침수 300만 원
고, 신속한 피해 조사를 토대로 복구
복구 지원은 피해 농작물을 빨리 제
◆수해이웃돕기긴급모금
등이다.
계획을 수립한다.
거하고 새 작물을 파종할 수 있는 시
현행 제도 상 정부의 영농시설 피해
또 기상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
기를 놓치지 않도록 하는 데 중점을
모금기간:2023년8월31일까지
●
복구 지원 규모는 피해액의 35%, 재
링하며 24시간 상황 관리 대응 체계를
뒀다.
모금계좌:국민은행054990-72-003752/
●
해보험금은 농작물 피해의 20% 수준
유지할 방침이다.
도는 신속 복구를 위해 농림축산국
농협은행106906-64-003747
이다.
아울러 항구적 복구 및 예방을 위한
에 이어 다른 실·국에서도 지원에 나
예금주:재해구호협회
●
이에 도는 농가에 영농시설 실제 피
제도 개선을 병행한다.
설 예정이다.
기부금영수증발급문의:1544-9595
●
해액의 80~90%를 지원하고, 경운기
도는 ▲댐 긴급 방류 시 사전 협의
도 인재개발원은 7월 21일 공주 지
등 농기계와 토양 개량까지 지원키로
를 위한 기구 마련 ▲금강 지천 정비
역을 찾아 퇴적물 정비, 폐기물 수거,
◆현물(세탁기,냉장고,도배장판등)지원
했다.
▲금강 본류·지천, 하구언 배수갑문 추
침수 주택·시설 정리 등 수해 복구 일
시군별현물지원접수처
비 피해 이전 수준으로 회복해 신속
가 설치 및 정비 등을 정부에 요구하
손돕기 활동을 했다.
하게 영농을 재개할 수 있도록 지원하
기로 했다.
이번 일손돕기는 도 인재개발원 정
공주시-복지정책과행복키움정책팀041-840-8221
●
겠다는 것이다.
한편 집중호우 피해 지역 이재민을
예공무원 양성과정 교육생 등 90명이
논산시-세무과세정팀041-746-5432
●
농작물 피해는 재해보험 가입자의
돕기 위한 손길이 이어지고 있다.
참여했다.
부여군-사회복지과복지정책팀041-830-2061
●
경우 보험금 수령액을 뺀 나머지 전액
도 소방본부는 7월 20일 이번 호우
청양군-행정지원과교류새마을팀041-940-2771
●
/정책기획관 041-635-3101
을 지원하고, 보험 미 가입자는 지원액
로 큰 피해를 입은 공주·논산시와 부
/스마트농업과 041-635-2520
을 차등 지원한다.
여·청양군의 피해복구 등을 위해 소방
지면안내
도정 비전
도정목표
디스플레이 특화단지 유치
3면
■ 힘차게 성장하는 경제
원산도 해양레저센터 건립
4면
■ 지역이 주도하는 발전
■ 함께하는 따뜻한 공동체
다문화가족 충남정착기
6면
민선8기충남도정
도정 현안과제를 강력한 추진력으로 신속히 해결하고,
■ 가치있고 품격있는 삶
호우피해 복구활동
9면
이를 통해 국가의 성장과 발전을 선도하겠다는 의미가 담겼다.
■ 우리 뜻이 통하는 충남
청년농부가 간다
12면
시각장애인용
2023년7월25일~8월4일
보이스아이QR코드
1990년 12월 15일 창간 안내 041-635-2035
집중호우 도민 피해 ‘전액’ 특별 지원
김태흠 지사, 안정 대책 발표
피해액절반‘즉시선지급’방침
정부지원과 별개로 지원책 마련
영농재개·주거안정·일상복귀총력
호우피해복구지원손길잇따라
충남도가 최근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게 중앙정부 지원 여부
와 별개로 피해액 전액을 특별 지원키
로 했다. 이 중 절반은 선제적으로 즉
시 지급한다.
김태흠 지사는 7월 24일 도청 프레
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집중호
우 피해 도민 생활 안정 특별 지원 대
책을 발표했다.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충남 공주·논산·부여·청양 등 4개 시군이 7월 19일 특별재난지역으로 우선 선포됐다. 특별재난지역은 대형 사고
"하루 빨리 일상으로" 수해복구 '구슬땀'
나 자연재해 등으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에 대한 복구 지원을 위해 대통령이 선포한다. 충남은 부여 외산 833㎜ 등 1000년 빈도의 이례적
김 지사는 “대통령께 두 차례 건의
천재지변(폭우)이 발생했다. 사진은 자원봉사자들이 논산지역 내 육묘장을 찾아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민들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수해복구활동을 펴고 있는 모습.
사진/논산시
해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되고, 정부에
서도 과거와 달리 특단의 지원을 강구
하고 있지만, 도에서는 신속한 영농 재
가축 피해는 상황을 살펴 지원 방안
공무원 및 의용소방대원 등 인력 2000
개와 주거 안정, 일상 복귀 등을 위해
을 검토한다.
명, 차량 32대, 수방장비 188점을 투입
선제적으로 특별한 지원에 나설 것”이
지난 집중호우로 도내에서는 공공시
했다.
라고 밝혔다.
설 피해 1113건, 사유시설 피해 1014
이들은 침수된 주택 배수와 생활용
피해액 전액 지원 원칙에 따라 피해
건, 농작물 침수 2954.1㏊, 농경지 유실
품 세척, 농경지 배수 장애요소 제거
액의 50%는 농협을 통해 즉시 지급하
54.2㏊ 등 총 1873억 원의 피해가 발생
등 수해복구활동에 나섰다.
고, 나머지는 정산 후 추가 지급하는
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도 소방본부는 장마가 종료될 것으
방식으로 신속 지원할 방침이다.
응급 복구는 공공시설 등 879건 중
로 예상되는 7월 말부터 도내 모든 소
주택의 경우 정부 지원에 추가 자금
786건(89.4%)을 완료했다.
방공무원과 1만여 의용소방대원이 참
수해복구를위한
을 더해 실제 피해액 전액을 지급하고,
일시 대피자 2088세대 3194명 중
여하는 대대적인 복구 활동에 나선다
TV, 냉장고, 세탁기 등 침수로 사용하
1896세대 2839명이 귀가를 하고, 미 귀
는 계획이다.
따뜻한손길이필요합니다
지 못하게 된 전자제품과 가재도구 일
가자에 대해서는 주거 지원 방안을 마
같은 날 도 농림축산국 직원 90여
체도 지원한다.
련 중이다.
명은 부여를 찾아 수박·오이 등 피해
전국적인집중호우로인명과재산피해가발생했습니다.
특별재난지역 지정에 따른 정부의
앞으로는 민간 장비와 군 병력 등
농작물을 제거하고, 시설하우스 및 퇴
삶의터전을잃은우리이웃들이빨리일상으로돌아갈수있도록
주거 피해 지원금은 전파 3600만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복구에 집중하
수로 정비 등 복구활동을 진행했다.
따뜻한위로와손길이필요한때입니다.
원, 반파 1800만 원, 침수 300만 원
고, 신속한 피해 조사를 토대로 복구
복구 지원은 피해 농작물을 빨리 제
◆수해이웃돕기긴급모금
등이다.
계획을 수립한다.
거하고 새 작물을 파종할 수 있는 시
현행 제도 상 정부의 영농시설 피해
또 기상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
기를 놓치지 않도록 하는 데 중점을
모금기간:2023년8월31일까지
●
복구 지원 규모는 피해액의 35%, 재
링하며 24시간 상황 관리 대응 체계를
뒀다.
모금계좌:국민은행054990-72-003752/
●
해보험금은 농작물 피해의 20% 수준
유지할 방침이다.
도는 신속 복구를 위해 농림축산국
농협은행106906-64-003747
이다.
아울러 항구적 복구 및 예방을 위한
에 이어 다른 실·국에서도 지원에 나
예금주:재해구호협회
●
이에 도는 농가에 영농시설 실제 피
제도 개선을 병행한다.
설 예정이다.
기부금영수증발급문의:1544-9595
●
해액의 80~90%를 지원하고, 경운기
도는 ▲댐 긴급 방류 시 사전 협의
도 인재개발원은 7월 21일 공주 지
등 농기계와 토양 개량까지 지원키로
를 위한 기구 마련 ▲금강 지천 정비
역을 찾아 퇴적물 정비, 폐기물 수거,
◆현물(세탁기,냉장고,도배장판등)지원
했다.
▲금강 본류·지천, 하구언 배수갑문 추
침수 주택·시설 정리 등 수해 복구 일
시군별현물지원접수처
비 피해 이전 수준으로 회복해 신속
가 설치 및 정비 등을 정부에 요구하
손돕기 활동을 했다.
하게 영농을 재개할 수 있도록 지원하
기로 했다.
이번 일손돕기는 도 인재개발원 정
공주시-복지정책과행복키움정책팀041-840-8221
●
겠다는 것이다.
한편 집중호우 피해 지역 이재민을
예공무원 양성과정 교육생 등 90명이
논산시-세무과세정팀041-746-5432
●
농작물 피해는 재해보험 가입자의
돕기 위한 손길이 이어지고 있다.
참여했다.
부여군-사회복지과복지정책팀041-830-2061
●
경우 보험금 수령액을 뺀 나머지 전액
도 소방본부는 7월 20일 이번 호우
청양군-행정지원과교류새마을팀041-940-2771
●
/정책기획관 041-635-3101
을 지원하고, 보험 미 가입자는 지원액
로 큰 피해를 입은 공주·논산시와 부
/스마트농업과 041-635-2520
을 차등 지원한다.
여·청양군의 피해복구 등을 위해 소방
지면안내
도정 비전
도정목표
디스플레이 특화단지 유치
3면
■ 힘차게 성장하는 경제
원산도 해양레저센터 건립
4면
■ 지역이 주도하는 발전
■ 함께하는 따뜻한 공동체
다문화가족 충남정착기
6면
민선8기충남도정
도정 현안과제를 강력한 추진력으로 신속히 해결하고,
■ 가치있고 품격있는 삶
호우피해 복구활동
9면
이를 통해 국가의 성장과 발전을 선도하겠다는 의미가 담겼다.
■ 우리 뜻이 통하는 충남
청년농부가 간다
12면
1페이지 본문끝
메뉴
- 첫 페이지로 이동
-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
-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 원본다운로드 : 979.pdf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