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페이지

16페이지 본문시작

16한글날 특집 제920호 2021년 10월 5일~10월 14일
표준어에 없는 ‘개갈’, ‘시절’ 등 충청말 되살리자
사람들은 라 하면 을 떠
루’는 ‘상추(生菜)’의 순우리말이다. 해방
575돌 한글날 특집-
올린다. 그런데 이는 정상이 아니다. 표준
후 표준어사정에 한자말 ‘상추’만 올리는
충청 사투리, 국어 사랑의 길
어는 에 등재되어 있는데
문제가 있었다.
그중 절반 이상이 지역 말이다. 100년 전
‘부루’는 오랜 옛날부터 써오던 우리말
조선어학회>에서는 전국의 말을 모아
로 충청과 전라지방을 중심으로 남북한 전
‘개갈’은 모내기 전 논둑 손보는 일
모이 사전>을 만들었다. 이때 서울에 없는
역에서 써온 말이다. 그런데 해방 후 표준
많은 말들이 표준어가 되었다. ‘서울말을
어사전에 누락됨으로써 사투리란 이름으로
논둑이 제대로 고쳐지지 않아
기준으로 하되, 서울에 없는 지역 말은 표
버려진 것이다.
물이 새는 것처럼 시원치 않다는 뜻
충청말로 만든 부여중앙시장 간판
준어로 삼는다.’는 규정을 만들고 이에 따
지금은 외국어와 외래어가 범람하는 시
른 것이다.
많이 쓰고 있고 다른 지방 사람들도 꽤 안
대다. 국제화에 어쩔 수 없는 측면이 강하
이렇게 전국의 지역 말을 모아 표준어를
다. 없는 말도 만들어 쓰는 현시점에서 되
지만, 이런 시국일수록 우리는 우리말을
‘시절’도 표준어다운 훌륭한 충청말
정했기 때문에 우리말은 풍부해지고, 우리
살려 쓰기에 좋은 말이다.
돌아보아야 한다. 575돌 한글날을 맞아 우
국어는 세계 언어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시절’이란 말도 표준어가 되기에 좋은
리는 지역 말을 되돌아보며 우리의 정체성
표준어 ‘멍청이’는 감정 상해도
2021년의 지금도 마찬가지다. 조사되고 정
충청말이다. ‘시절’은 계절이나 때를 이르
과 국어 사랑의 길에 들어서게 되길 기대
리된 지역 말(사투리)들은 표준어사정의
는 말로 표준어다. 그런데 충청도의 ‘시
한다.
충청도 ‘시절’은 감정 순화한 비유어
절차를 거쳐 표준어가 되고 국어사전에 오
절’은 비유어다. 비유어는 다른 것을 통해
른다. 사투리란 이름으로 버려지는 것이
뜻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대방에게
아니라, 새로운 국어로 탄생하는 것이다.
상처를 주지 않는다. 그래서 비
충청말 ‘부루’는 ‘상추’의 순우리말
이를 통해 국어는 확장 발전하고, 지역과
유어는 세계의 언어에서 가
충청과 전라 등 남북한 전역서 사용
지역은 손을 맞잡고 함께 서는 것이다.
장 고급스럽고 멋들어진 말
충청의 언어도 마찬가지다. 충청말은 충
로 통한다. 충청의 말은 비
해방후 표준어에 누락된 사투리
청인의 삶의 기반이며 문화정체성이다. 내
유어가 발달되어 있고, 그
가 모여 가족이 되고 국가가 된다. 우리가
가운데 하나가 ‘시절’이다.
충청의 말을 사랑하고 아끼는 것은 충청의
‘시절’은 때를 모르는 사람을 이
표준어의 절반은 사투리로 만들어
정체성을 지키는 것인 동시에 내 나라 국
르는 말이다.
어를 지키는 일이다. 충청의 언어는 버려
표준어로 ‘넌 바보 멍청이야.’를 충청말
충청말 지키기가 곧 국어 사랑
지고 잊힐 언어가 아니라 아끼고 살려내야
로 바꾸면 ‘너는 때도 모르는 시절이여.’가
할 내 말이다.
된다. 이때 표준어 ‘바로 멍청이’는 듣는
예를 들어 충남지방에서 널리 쓰는 말
사람의 감정을 상하게 한다. 반대로 충청말
가운데 ‘개갈 안 난다’란 말이 있다. 이는
‘시절’은 그렇지 않다. ‘너는 때를 잘 찾아
일이 시원스럽게 진행되지 못함을 이르는
야 한다.’는 충고의 소린지 놀리는 소린지
말이다. ‘개갈’은 봄철 모내기 전 논둑을
구분되지 않는다. 그래서 한참 생각해야 하
손보는 일이다. 겨울 동안 무너진 논둑을
고 그러는 동안 감정은 순화된다. 이런 ‘시
고치고, 물이 새 나가지 않도록 고치는 일
절’은 이미 표준어가 있기 때문에 충청의
이다. 그러니까 ‘개갈 안 나는 것’은 논둑
고급적인 의미만 더하면 된다. 비유어 ‘시
이 제대로 고쳐지지 않아 물이 줄줄 새 나
절’은 우리가 조금만 더 써도 바로 표준어
이명재 시인
가는 것이고, 그것처럼 일이 안 되는 것이
가 될 수 있다.
충청언어연구소장
다. 이는 표준어에 없지만, 충청사람들이
충청말 ‘부루(부룻)’도 마찬가지다. ‘부
사투리는 토박이들의 축적된 삶… 충청도 사람은 표정으로 먼저 말한다
충청도말 특징
한 곳에 시선을 고정시키고 한동안
무표정이다. 그러다가 낮은 목소리로
`퍼뜩' 쓰면 경상도
한마디 한다. “엥간히 혀!”
`언능' 쓰면 전라도
충청도 사투리는 우리말이 분화하
여 만들어진 말이다. 과거, 교통과
`어여' 는 충청도
매체가 덜 발달되었던 시절, 강이나
산과 같은 지리적 장애 때문에 사람
사투리는 우리나라의 여러 지역에서
들의 교류가 단절됨으로써 형성된
색다른 모습으로 살아 숨쉬고 있다.
독특한 말이 충청도 사투리이다. 충
또한 사투리에는 해당 지역 토박이
청도 사투리를 독특하게 하는 몇 가
들의 삶 속에서 축적된 다양한 문화
지 요소들이 있다.
가 담겨 있다. ‘시간을 끌지 않고 바
첫째, 충청도 사투리는 말꼬리를
로’를 뜻하는 ‘얼른’이란 말에 대해,
길게 빼서 늘어뜨린다는 점이다. “아
둘째, 충청도 사투리는 직설적이
이다.
로 들어온 사람이 있고, 떠난 사람도
‘퍼뜩’을 쓰면 경상도 사람이고, ‘언
부지~ 돌 굴러가유~” “셔 가먼서 시
거나 과격하지 않고 차분한 편이다.
그리고 충청도 사람들만이 사용하
있는 곳이다. 그렇지만 지금도 머물
능[싸게]’를 쓰면 전라도 사람이다.
엄시엄덜 혀~” “쬐끔 더 줘유~” “이
즉 상대방을 치밀하게 배려하는 신
는 사투리가 있다. “혼저넌 심들어
고 있는 충청도 사람들이 있기에 오
‘저’[혼저]를 쓰면 제주도 사람인
응감(영감), 움말 마실댕겨올테니께,
중한 화법이다. 내가 하고 싶은 말만
뭇써, 하냥 혀~” “허넌 짓거리가 참
늘의 충청도 사투리가 있는 것이다.
데, 충청도 사람들은 “어여 와~. 어
복실이 밥두 주구, 집 잘 봐유~.”
하는 것이 아니다. “집이 딸래미 여
개갈 안나네 그랴” “똥뀐 늠이 됩
그들의 삶이 오랫동안 축적되어서
여 가~”처럼 ‘어여’를 사용한다. 경
“이~ 그랴~ 이음려(염려) 말구 잘
우구, 훌륭한 사우 맞었다먼서? 돈두
때 화럴 내능구먼” “겟국지넌 스산
말이다.
상도, 전라도처럼 충청도에도 충청도
댕겨와~”처럼, 느릿느릿 말하는 듯
많구.” “아니 뭐... 그... 넘들두 다~
지방이서 유명허지유” 여기에 표정
사람들의 특유의 사투리를 갖고 있
말끝을 다소 길게 빼는 말투 때문에
그런디유 뭐~”
도 있고 몸짓도 더해지면, 그리고 충
다. 충청도 사투리가 어떠한 존재인
충청도 사투리는 게으르고 답답한
충청도 사투리에서는 ‘서두름이
청도 특유의 느린 듯한 말투까지 더
가를 알려주는 무형의 문화유산이다.
부정적 이미지를 갖기도 한다. 그러
없이 온화함’이 묻어난다. “좀 지둘
해지면 영락없는 충청도 사투리요.
김정태
충청도 사람들의 사투리는 표정에
나 이 말투는 유연함이 있고 여유로
러봐유~. 그랴, 됐지 뭐. 안 그랴?
그 사람은 충청도 사람이다.
충남대학교
서도 읽을 수 있다. 기분 좋으면 ‘씨
움이 있는 말투이다. 충청도 사투리
아이구, 워쩐대유? 괜찮어유!” 느린
지리적으로 충청도는 여전히 그
국문학과 교수
익’하고 웃는다. 그런데 기분 나쁘면
의 독특한 말의 가락일 뿐이다.
듯 하지만 여유와 배려가 있는 미감
자리에 있다.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

16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